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Medical Professionalism Core Attributes Scale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Med Educ. 2012;24(4):339-34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2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3946/kjme.2012.24.4.339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jeon, Korea
이금호, 허예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Corresponding Author: Yera Hur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58 Gwanjeodong-ro, Seo-gu, Daejeon 302-718, Korea Tel: +82.42.600.6416 Fax: +82.42.600.6417 email: shua@konyang.ac.kr
Received 2012 August 13; Revised 2012 September 28; Accepted 2012 October 1.

Trans Abstract

Purpose:

Evaluating the professional attributes of medical students is critical, because medical professionalism is an essential quality of a good doctor. Bu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tools for assessing such attribute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medical students to develop standards that can assess medical professional attributes.

Methods:

A total of 1,508 medical students in Korean medical schools or colleges answered a self-assessment survey of medical professionalism elements from 2005 to 2012 that we developed. The survey consisted of core 31 attributes on a 5-point Likert scal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0.0 and AMOS version 20.0.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six factors with total variance of 59.56%. The factors were termed 'empathy and accountability,' 'self-development skills,' 'academic competence,' 'interpersonal skills,' 'high intelligence,' and 'attitude towards oneself and life.' These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0.310~0.663).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six-factor model were appropriate (CFI=0.873, TLI=0.853, RMSEA=0.065). Cronbach-alpha of six factors ranged from 0.718 to 0.864.

Conclusion:

Good doctors need to have not only appropriate standards of medical knowledge but also skills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ell with patients, as well as self-management skills,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By optim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ore refined assessment tool of professionalism can be exploited.

서론

우리나라에서 의사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생계만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이라기보다 환자의 병을 고치고 생명을 살리는 귀한 직업, 존경받을 만한 직업 등으로 인식되며 그에 따른 권위를 가졌다. 그러나 언론을 통해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 성추행 사건, 리베이트 문제, 최근 정부의 포괄수가제 정책 시행과 관련된 수술 거부와 파업 등으로 인하여 의사들에 대한 불만과 비난 여론이 생겨나면서 의사들의 도덕성 문제가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오늘날 사회에서는 의사들에게 단순히 병을 잘 고치고 수술을 잘 하는 것만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입장에서 이해해주고 공감해줄 수 있는 의사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질병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의학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질병에 대한 의학적 지식과 함께 인간이나 환자에 대한 인문학적 지혜를 배양하는 의학 교육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으며[1], 국내 의학교육에서는 의료인문학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의사국가고시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도 있다[2]. 이는 의사들의 전문직업성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서이다.

의학 전문직업성과 관련된 연구는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념이나 정의, 요소 등에 대한 표준화된 내용은 없다. Passi et al. [3]은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영어로 발표된 134편의 논문들을 조사하였다. 교육과정 설계, 학생 선발, 교수-학습방법, 역할 모델링(role modelling), 의학 전문직업성의 평가 등 5가지 항목으로 논문들을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의학 전문직업성은 다각적인 개념(multifaceted concept)이며,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없는 것은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전략이나 평가에 대한 증거기반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의학 전문직업성의 개념이나 교육 방법, 평가 방법, 교육 현황을 알아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4,5,6,7], 그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으며, 의료인문학 교과목 개설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5]. 그러나 우리나라 의과대학생 또는 의사가 갖추어야 할 의학 전문직업성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이를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된 내용이나 구체화된 내용은 없다. 의료윤리의 경우 국내 많은 의과대학에서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에서 학습 목표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과서를 발간하여 각 대학들에서 어느 정도 공통된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그 외의 의학과 관련된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은 대학마다 그 내용과 분량이 매우 다양하여 공통성을 발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8,9].

특히 의사가 갖추어야할 필수적인 자질인 의학전문성을 잘 가르치고 이를 잘 습득하였는지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요구되는 의학 전문직업성의 요소는 무엇인지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의학 전문직업성을 평가할 도구를 개발하여 의학전문성을 어느 정도 습득하였는지 학생 스스로 또는 교수자가 평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ur [10]의 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규명된 의학 전문직업성 31개 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하위 요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2) 하위 요인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하위 요인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어떠한가? 4)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도구

2005년~2012년 7년에 걸쳐 한국의 의과대학생 및 의학전문대학원생 총 1,508명(10개 의과대, 1개 의학전문대학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년별로 1학년 37.2%, 2학년 28.0%, 3학년 21.2%, 4학년 13.6%의 비율이었다. 1학년에는 다른 의과대학에서 의예과 과정에 해당되는 1학년 학생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해당 의과대학의 경우 6년제로 운영되므로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1학년에 포함시켰다. 검사도구는 Hur [10]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추출해 낸 의학 전문직업성 요소를 바탕으로 작성된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척도는 총 31문항이며, 5점 척도로 학생이 자신의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2. 분석 방법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SPSS version 20.0 통계프로그램(IBM, Armonk, USA)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AMOS version 20.0 프로그램(IBM)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0.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으로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varimax방식으로 요인구조를 파악하였는데, 총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6개 요인 구조가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 유효 요인수와 최종 요인구조

주성분 분석과 varimax 회전을 통해 고유값 1.0 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한 결과(Table 1), 총 6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총 누적분산은 59.56%로 나타났다. Kaiser-Meyer-Olkin값은 0.946으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값은 21,534.316 (df=465, p=0.000)으로 유의수준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므로 표본과 요인분석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요인 1 (6문항)은 고유값 10.73, 설명분산 34.60%, 요인 2 (7문항)는 고유값 2.65, 설명분산 8.65%, 요인 3 (7문항)은 고유값 1.50, 설명분산 4.83%, 요인 4 (4문항)는 고유값 1.39, 설명분산 4.48%, 요인 5 (4문항)는 고유값 1.16, 설명분산 3.73%, 요인 6 (3문항)은 고유값 1.04, 설명분산 3.37%로 나타났다.

Loading Factor Show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2) 요인 해석과 명명

추출된 6개의 요인은 해당되는 문항의 특성에 따라 요인명을 다음과 같이 명명하였다.

요인 1은 타인존중, 환자애, 봉사정신, 의료윤리, 예의범절, 사명감 등 6개의 문항이 해당되었으며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에 대한 문항으로 ‘이타심과 책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2는 계획성, 자기규제, 성실과 근면성, 평생학습, 자신감, 신체적/정신적 건강, 용모단정 등 7문항으로 자기 자신을 관리하고 계발하는 능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자기계발능력’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3은 의사학/보건사회/한국사회에 대한 이해, 의료정책의 이해, 기본 술기, 기본 의학지식 등 의학적 전문지식과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이해에 관한 7개 문항이 해당되어 ‘학문적 역량’이라고 명명하였다. ‘외국어 구사능력’의 경우 비교적 낮은 요인부하량(0.337)을 나타냈으며 요인 3 이외에 요인 4, 5, 6요인에도 비슷한 요인부하량을 보였으나 그 내용상 학문적 역량에 해당되고, 의학 전문직업성의 요인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제거하지 않았다. 요인 4는 친화력, 리더십, 팀워크, 의사소통능력 등 4개의 문항으로 타인과 협동하고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대인관계능력’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5는 이해력, 종합력, 분석력 등 인지적인 사고능력에 해당되는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고등사고능력’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6은 삶에 대한 태도, 자기 자신에 대한 존중감 등에 관한 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삶과 자신에 대한 태도’라고 명명하였다.

3) 요인 간 상관관계

요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6개 하위 요인 간 상관관계는 0.310~0.663까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요인 3 ‘학문적 역량’을 제외한 나머지 5개의 요인은 비교적 높은 상관을 나타났다(Table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밝혀진 의학 전문직업성의 6개 요인구조가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χ2은 3,015.768 유의확률은 0.000으로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기각되었다. CFI값은 0.878, TLI값은 0.856, RMSEA값은 0.064로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어 6개 요인 구조가 수집된 자료에 잘 부합된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Table 3).

Structure Model Fit Indices

Fig. 1에 제시된 모형의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는 유의수준 0.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6개의 의학 전문직업성 하위요인들은 0.33~0.76의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를 나타냈는데, ‘학문적 역량’은 다른 5개의 요인들과의 관계에서 ‘이타심과 책무’와는 0.33, ‘자기계발능력’과는 0.39, ‘대인관계능력’과는 0.43, ‘고등사고능력’과 ‘삶과 자신에 대한 태도’와는 각각 0.56, 0.65로 다른 5개의 요인들과의 관계보다 낮은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앞서 요인간 상관관계에서 살펴보았듯이 ‘학문적 역량’은 다른 요인들과 낮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6개 요인과 31개 문항의 관계에서는 0.41~0.80의 값을 나타냈다.

Fig. 1.

Six-Factor Model of Medical Professionalism

3. 문항 및 요인의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결과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31개 문항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살펴본 결과, 평균은 2.37~3.56, 표준편차는 0.827~1.064의 값을 나타내어 극단적인 값이 없고 비교적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사명감’(평균, 3.56; 표준편차, 0.891)이었으며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이해’ (평균, 2.37; 표준편차, 1.064)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6개 요인의 평균은 요인 3 ‘학문적 역량’이 2.57 (표준편차, 0.66)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5개의 요인들은 비슷한 평균을 나타냈다(Table 4).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of Factors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31개 문항과 6개 요인에 대한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다(Table 4).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0.932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6개 요인들의 신뢰도 역시 0.718~0.864의 범위로 나타나 양호한 분포를 보였다.

고찰

의학교육에서는 의과대학생에게 사회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자질을 잘 가르쳐서 바람직한 의사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다. 잘 가르치기 위해서는 얼마나 습득하였는지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주어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 도구가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의학 전문직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요인 1은 ‘이타심과 책무’로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설명량은 34.60%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의료윤리는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시되는 내용으로, 무엇보다도 타인에 대한 존중과 환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윤리적인 의료행위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요건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요인 2 ‘자기계발능력’, 요인 4 ‘대인관계능력’은 요인 1과 함께 의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직업성의 중요한 요소로 태도적인 측면에 해당되는 요인이다. 평생학습을 하고 질 좋은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의학적 지식, 임상술기 등을 유지해야하는 책임을 지는 것은 의사가 지녀야 하는 중요한 역량 중 하나인 것이고[11], 대인관계 능력은 환자 진료와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수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12], 동료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요인 3 ‘학문적 역량’은 의학적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 또한 ‘전문가’로서 의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요소일 것이다. 요인 5 ‘고등사고능력’은 이러한 학문적인 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측면으로 문제바탕학습, 소그룹 학습 등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해 의과대학생들에게 배양시키려고 하는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요인 6은 삶에 대한 태도, 자기 자신에 대한 존중감 등에 관한 것으로 ‘삶과 자신에 대한 태도’로 삶의 질이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의과대학생들은 많은 학업량과 긴 학업기간, 유급제도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좋은 의사를 만들기 위해 의사의 전문 능력 및 사회적 역량을 기르는 것도 좋지만 개인 심리상태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이러한 것만 강조한다면 의학교육은 진정으로 행복한 의사를 양성하기 어렵다. Dyrbye et al. [13]에 따르면 의과대학생들의 정신건강상태와 전문직업성은 높은 상관을 보이는데, 긍정적인 정신건강(positive mental health)은 전문적인 행동과 신념을 강화하며 의과대학생들이 ‘전문성 소진(professional burnout)’이 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을 위한 대처방안을 배우도록 하는 것은 학생 개개인뿐만 아니라 사회를 위해서도 이익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심리건강 상태에 관심을 갖도록 행복, 자아 성찰, 목표 설정 등을 포함하는 보다 다양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이다[14].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추출된 6개의 요인을 토대로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CFI, TLI, RMSEA 등 적합도 지수가 모형이 적합하다고 나타내주어 본 연구의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신뢰도도 높게 나타나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여섯 개 하위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서 요인 3 ‘학문적 역량’은 다른 요인들과의 상관이 대체로 낮게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에서의 표준화된 계수 추정치도 낮게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다른 5개의 요인들은 태도적인 측면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1개 문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학문적 역량’에 해당되는 문항들은 모두 3점 미만으로 다른 문항들보다 낮게 나타났다. Hur et al. [15]의 연구에서도 역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는데, 학년별로 비교한 결과를 보면 고학년이 되면서 기본적 의학지식과 기본 술기에 대한 문항의 점수는 상승하는 반면, 보완대체의학, 의사학/한국사회, 인문사회의학, 의료정책에 대한 문항 점수는 별다른 변화가 없거나 상승폭이 매우 작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의료인문학 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첫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규명된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는 6개의 하위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의과대학생들이 배우고 습득해야할 의학 전문직업성 핵심요소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 척도에는 이타심이나 책임감 등 태도적인 측면과 고등사고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계발능력 등과 함께 의학적 지식과 기술도 포함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의학 전문직업성 요소로 정직성, 윤리성, 자기규제 등 태도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는 ‘전문가’로서 의사가 반드시 지녀야 하는 의학적 지식과 술기 측면도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 요소로 포함되고 있다[16]. 셋째, 의학 전문직업성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의 개발과 적용뿐만 아니라 이를 지속적으로 학생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부족한 자질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요인의 수가 6개로 추출되었는데, 요인 6의 고유값은 1.04로 기준값인 1.00을 넘었으나, 그 설명량이 적고 문항수 또한 3개로 적은점은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다. 둘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항을 추출하고 척도를 최종적으로 개발한 후 요인분석을 하였으므로 초기 문항들에 대한 요인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다. 그로 인해 요인 6이나 다른 요인들의 설명량을 높일 수 있는 문항이 탈락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상의 결론과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에 포함된 문항이나 요인 이외에 우리나라 의과대학생과 의사에게 필요한 의학 전문직업성 요소가 추가적으로 있는지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척도를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의학 전문직업성의 변화 추이를 종단적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에서 평가 척도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법 등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Kwon SO. Conception of medical humanities and it's role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005;17:217–223.
2. Uiryoinmunhak gugnae yeongu jaejeongmunje geollimdol [Internet]. Seoul, Korea: Cheongnyeonuisa; c2012 [ updated 2012 January 11; cited 2012 July 24]. Available from: http://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newscd=2012011000034.
3. Passi V, Doug M, Peile E, Thistlethwaite J, Johnson N. Developing medical professionalism in future doctors: a systematic review. Int J Med Educ 2010;1:19–29.
4. Bang JB, Lee KY, Lee CK, Lee DH, Lee YH, Kim JR, Kang PS. Evaluation of curriculums of medical schools for fostering various basic qualiti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Korean J Med Educ 2008;20:109–121.
5. Chung CW. Current situa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in Korean medical schools. Korean J Med Educ 2004;16:259–267.
6. Kim S, Hur Y.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21st century: how can we teach it. Korean J Med Educ 2003;15:171–186.
7. Hur Y, Kim S. What qualities do medical school applicants need to have? Secondary publication. Yonsei Med J 2009;50:427–436.
8. Meng KH. Teaching medical humanities in Korean medical schools: tasks and prospect. Korean J Med Educ 2007;19:5–11.
9. Meng KH.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in Korean medical schools: tasks and prospect. Korean J Med Educ 2008;20:3–10.
10. Hur Y. An analysis of the core elements and curriculum evalua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dissertation]. [Seoul, Korea]: Yonsei University; 2006.
11. ABIM Foundation.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new millennium: a physician charter. Obstet Gynecol 2002;100:170–172.
12. Rider EA, Keefer CH. Communication skills competencies: definitions and a teaching toolbox. Med Educ 2006;40:624–629.
13. Dyrbye LN, Harper W, Moutier C, Durning SJ, Power DV, Massie FS, Eacker A, Thomas MR, Satele D, Sloan JA, Shanafelt TD. A multi-institutional study exploring the impact of positive mental health on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in an era of high burnout. Acad Med 2012;87:1024–1031.
14. Lim EB. Happiness of medical students and tasks in medical education. Korean Med Educ Res 2011;13:25–38.
15. Hur Y, Lee SH, Kim S. Medical students' self assessment on medical professionalism. Korean J Med Educ 2008;20:23–35.
16. Campbell AV, Macneill PU, Hill CD, Chin JJ.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from undergraduate learning to professional practice. Paper presented at: the 8th Asia Pacific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APMEC) Pre-Conference Workshop; January 26-30; Singapore. 201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unding :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2011-332-B00360).

Fig. 1.

Six-Factor Model of Medical Professionalism

Table 1.

Loading Factor Show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Item Factor Factor name

1 2 3 4 5 6
Respect for others 0.763 0.156 0.051 0.219 0.133 0.161 Empathy & accountability
Caring attitudes towards patients 0.745 0.171 0.097 0.223 0.147 0.029
Service-oriented mind 0.720 0.113 0.155 0.142 0.074 0.108
Medical ethics 0.687 0.189 0.082 0.076 0.214 0.110
Etiquette 0.638 0.240 0.062 0.255 0.121 0.127
Sense of duty 0.526 0.433 -0.008 0.086 0.265 0.180

Planning 0.167 0.747 0.028 0.171 0.146 0.017 Self-development skills
Self-restraint 0.183 0.652 0.118 0.274 0.094 0.056
Integrity & diligence 0.401 0.651 -0.045 0.034 0.174 0.110
Life-long learning skills 0.148 0.618 0.145 0.166 0.279 0.144
Self-confidence 0.317 0.493 0.063 0.211 0.383 0.022
Physical appearance 0.351 0.460 0.085 0.142 0.037 0.260
Physical & mental health 0.052 0.454 0.122 0.431 0.072 0.266

Understanding medical history & the Korean society 0.082 -0.009 0.765 0.061 0.201 0.143 Academic competence
Understanding of health policy 0.116 0.044 0.759 0.052 0.120 0.012
Understanding of human-social science -0.013 -0.001 0.692 0.067 0.279 0.279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medicine 0.110 -0.005 0.672 0.099 0.012 0.097
Basic skills for training primary medicine 0.105 0.357 0.586 0.138 0.021 -0.348
Basic knowledge for training primary medicine 0.080 0.394 0.573 0.054 0.066 -0.374
Foreign language skills -0.044 0.219 0.337 0.213 0.286 0.233

Intimacy 0.267 0.238 0.068 0.735 0.110 0.124 Interpersonal skills
Leadership 0.173 0.183 0.208 0.721 0.247 0.014
Teamwork 0.312 0.187 0.054 0.720 0.155 0.107
Communication skills 0.239 0.140 0.128 0.622 0.411 0.065

Logical & critical thinking skills 0.225 0.258 0.157 0.175 0.714 0.086 High intelligence
Creative thinking skills 0.105 0.073 0.245 0.158 0.706 0.184
Problem solving skills 0.262 0.238 0.166 0.254 0.678 0.043
Decision-making skills 0.381 0.247 0.174 0.182 0.527 -0.002

Spirituality & dilettante life 0.307 0.116 0.153 0.097 0.081 0.595 Attitude towards oneself & life
Self-examination 0.308 0.371 0.119 0.121 0.237 0.536
Open & positive mind 0.306 0.261 0.093 0.310 0.175 0.533

Eigenvalue 10.73 2.65 1.50 1.39 1.16 1.04
Variance (%) 34.60 8.56 4.83 4.48 3.73 3.37
Cumulative (%) 34.60 43.16 47.98 52.47 56.20 59.56

KMO=0.946, Bartlett=21,534.316 (df=465, p=0.000)

KMO: Kaiser-Meyer-Olkin.

Table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Factor 5 Factor 6
Factor 1 1
Factor 2 0.663 1
Factor 3 0.310 0.380 1
Factor 4 0.570 0.602 0.492 1
Factor 5 0.583 0.622 0.387 0.599 1
Factor 6 0.592 0.557 0.316 0.526 0.509 1

p-value=0.000.

Table 3.

Structure Model Fit Indices

df χ2 p-value CFI TLI RMSEA RMSEA (90)

LO HI
Factor model 419 3015.768 0.000 0.878 0.856 0.064 0.062 0.066

Table 4.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of Factors

Factor Factor name Mean SD Cronbach-α
Factor 1 Empathy & accountability 3.47 0.66 0.864
Factor 2 Self-development skills 3.39 0.64 0.834
Factor 3 Academic competence 2.57 0.66 0.796
Factor 4 Interpersonal skills 3.22 0.68 0.810
Factor 5 High intelligence 3.32 0.72 0.844
Factor 6 Attitude towards oneself & life 3.38 0.76 0.718

SD: Standard deviation.